제작 기간은 2021년 12월 6일~12월 7일 이틀이다. 기본적으로 mediawiki의 구조에 리브레 위키의 liberty 스킨을 씌운 형태.
ubuntu server 20.04 LTS에 APM을 베이스로, mariaDB를 사용하고 있다.
12월 8일에 테스트를 시작하였다. 테스트 멤버는 정준호 박병창 김재연 제갈민수 홍강일
만통위키 서버 하드웨어 스펙: Raspberrypi 4 B+ 8GB, 32GB microSD endurance
2021년 12월 12일 동아리방으로 라즈베리파이를 옮겼다. 전원에 연결된 조그만 보드가 위키서버입니다.
동아리 WiFi에 물려있으니 공유기에 문제가 생기면 위키 서버도 먹통이 될듯
동아리방 네트워크 관리 요령
컴퓨터공학과 학우에게 우선적으로 물어보도록 하자
동아리방에 들어오는 인터넷선에는 고유 IP를 할당받아야 한다.
위키 서버나 동아리 WiFi가 제대로 동작하려면 공유기가 잘 동작하여야 하고, 공유기가 제대로 동작하려면 공유기에 최초로 들어오는 인터넷선에 IP가 할당되어야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 IP라는것이 동아리 회원의 학적에 의존성이 있기 때문에 할당받은 회원이 졸업해버리면 IP도 해제되어 새로 할당받아야 한다.
이는 경희대학교 정보처의 ip신청 페이지를 참고하여 진행하면 된다.
https://ois.khu.ac.kr/infra/infra_03.do
할당받은 ip정보로 공유기 관리 페이지를 설정하면 공유기 자체는 잘 동작하게 된다.
(공유기의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192.168.0.1 (iptime의 경우) 에 접근하면 진입 가능하다.)
이 위키의 경우 80번 포트로 호스팅하면 외부에서 쉽게 접근이 가능하므로 50404번 포트로 포트포워딩을 해둔 상태.
공유기가 바뀌면 서버용 라즈베리파이에 직접 접근할 일이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 그래도 WiFi 이름과 비밀번호만 그대로이면 작동할 가능성이 있다.
그 외 Raspberrypi 4의 ubuntu server에 직접 접근하고 싶다면 정준호에게 문의 바람.
아래는 mediawiki 디폴트 페이지 내용을 옮겨둔 것이다.
이곳에서 위키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