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로라이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잔글
118번째 줄: 118번째 줄:
 
=====히오도시 아오=====
 
=====히오도시 아오=====
 
=====오토노세 카나데=====
 
=====오토노세 카나데=====
 +
오마에라 우메우메 난테콧타
 +
[[파일:Kanade otonose.png|가운데|섬네일]]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
 +
{{Youtube|jV0SURS8qcs}}
 +
</div>
 
=====이치조 리리카=====
 
=====이치조 리리카=====
 
=====주우후테이 라덴=====
 
=====주우후테이 라덴=====

2023년 11월 18일 (토) 01:46 판

"와타메는 잘못한 게 없잖아?"
“はい。”


설명

Cover 주식회사의 여성 버츄얼 그룹이다. 2기생까지는 니지산지에 비해 다소 부진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키리누키를 기반으로 한 "밈적 요소"로 이미지를 확고히 다진 3기생의 등장으로 대중들에게 홀로라이브라는 이름을 널리 알리게 되었다. 또한 버튜버라는 시장에 있어서는 더할 나위 없이 좋은 기회로 코로나 사태가 터지면서, 집에 갇혀 기다리던 신작 애니메이션마저 연기되고 출시되는 애니마저 어디선가 본 느낌을 지우지 못해 지루해하던 덕후들의 마음을 제대로 저격하였다. 오죽하면 일상계 애니의 부진이 홀로라이브 때문이라는 칼럼이 있을 정도이다. 현재로써는 초대 Vtuber였던 키즈나 아이는 물론, 경쟁사였던 니지산지마저 꺾고 "버츄얼 유튜버"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기업이 되었다.

2025-08-04T15:38:29+00:00를 기준으로 JP(일본인 그룹)은 총 6기생, ID(인도네시아)는 총 2기생, EN(영미권)는 2+1기생, 홀로스타즈(남자들)은 3기생이 존재한다. 원래는 CN(중국) 또한 존재했지만, 중국 자체의 정책과 더불어 키류 코코와 아카이 하아토를 대표로 중국과의 이슈가 터지며 중국 멤버들은 현 시점에서는 모두 졸업[1]하였다.

이 주제를 다루는 톡방이 존재한다. 다른 톡방에 비해 매일마다 소재가 갱신되어 톡방 자체가 활발한 것이 특징이다.

여담으로 2025-08-04T15:38:29+00:00 기준 위키의 로고와 대문을 장식하고 있는 캐릭터가 바로 이 홀로라이브의 초대 0기생 멤버이며, 이름은 사쿠라 미코(さくらみこ)이다.

혹시라도 아직 홀로라이브로 대표되는 버츄얼 유튜버에 입문하지 않았다면, 일본어와 기타 언어는 물론 영상편집에도 능한 사람들이 제작한 키리누키[2]로 찍먹해보는 것을 추천해본다.

멤버 목록

홀로라이브에 대해 잘 모르는 뉴비들을 위해 나름의 홍보 멘트를 적어주세요.

심하지 않은 선에서 오락관

홀로라이브 JP

0기생

다른 기수들과 다르게 동시에 데뷔한 게 아니기도 하고, 이 당시에는 Cover가 본격적으로 버튜버 시장에 뛰어들기 전이었던 터라 모델링이 3D인 경우도 있고, 2D인 경우도 있다. 요컨대, 다른 기수들이 장병이라면 이쪽은 부사관 같은 느낌으로 보면 되겠다.

아무래도 데뷔일이 다르다 보니 다른 기수들과 달리 가상의 기수로 묶었다는 느낌이 강하지만, 그만큼 각각의 개성이 엄청 뛰어난 편에 속한다.

토키노 소라
로보코 씨
사쿠라 미코


Mikochi2.png
호시마치 스이세이

노래 진짜 잘 부른다.

AZKi

1기생

아키 로젠탈
요조라 멜
아카이 하아토
시라카미 후부키
나츠이로 마츠리

2기생

미나토 아쿠아
무라사키 시온
나키리 아야메
유즈키 초코
오오조라 스바루

특유의 발음 때문에 スバゥ라고도 부른다.

hololive GAMERS

시라카미 후부키의 칭기들. 인싸 옆에는 인싸만 모이는건지 친구들도 각자 개성 넘치고 매력이 있다.

솔직히 친구 관계랑 돈벌이 둘 다 잡은 거 너무 부러움.

시라카미 후부키
오오카미 미오

우치우치 우치다요 오오까미 미오다요

특유의 톤 때문에 노동용 라디오로 쓰기 좋다.

스파클을 기똥차게 부른다.

네코마타 오카유
이누가미 코로네

3기생

다른 표현은 hololive Fantasy, 멤버 각각의 컨셉이 판타지 세상에 나올 법한 존재로 묘사된다. 이때부터 각 기수별로 공통된 키워드가 생긴다.
본격적으로 대중에 홀로라이브라는 다섯 글자를 각인시킨 기수. 좋게 말하면 개성 넘치고, 나쁘게 말하면 개구쟁이 집단.

우사다 페코라
우루하 루시아

모종의 사건으로 인해 계약해지되었다.

시라누이 후레아

누군가의 오시[3]라고 한다.

시로가네 노엘
호쇼 마린

4기생

다른 표현은 holoForce.

아마네 카나타
키류 코코

4기생에게 확고한 캐릭터성을 부여하고 스스로도 굉장히 인상깊게 방송을 했지만 아쉽게도 현재는 졸업한 상태.
현재는 kson이라는 이름을 달고 독립적인 버튜버 활동을 진행 중이다.

츠노마키 와타메
토코야미 토와

루루도 판떼기 속에 꽤 개성적인 중저음 보이스가 섞여서 볼 때랑 들을 때가 다른 느낌을 준다.

히메모리 루나


Luna.png

딸기우유 밈 만든 놈 찾으면 꿀밤 때린다.

5기생

다른 표현은 holoFive.

유키하나 라미
모모스즈 네네

"타오타오."

시시로 보탄

FPS게임 잘 한다. 호러 게임도 잘 한다.

오마루 폴카
마노 알로에

이쪽은 진짜로 사고 쳐서 잘리는 느낌으로 졸업했다.

6기생

이명은 비밀결사 holoX. 결사라면서 멤버들끼리 서로 디스걸기 바쁜 희한한 동네다.
멤버들의 개성이 기존 멤버들를 위협할 만큼 개성적이라는 평가가 나올 정도로, 기존까지의 기수에 비해 꽤 방송 진행에 능한 모습들을 보여준다.
사람들끼리 농담삼아 방송을 잘 안 키던 멤버가 방송을 키면 6기생 때문 아니냐고 놀릴 정도.

라플라스 다크니스
타카네 루이
하쿠이 코요리

방송 배경 뒤에 벤젠 기반 합성물이 볼 때마다 신경쓰인다.
나프탈렌도 아닌 저 기묘한 물질은 뭐란 말이냐.

사카마타 클로에
카자마 이로하

hololive DEV_IS

기존 기수와는 다르게 그룹에 대한 프로듀서가 존재한다.

ReGLOSS

히오도시 아오
오토노세 카나데

오마에라 우메우메 난테콧타

Kanade otonose.png


이치조 리리카
주우후테이 라덴
토도로키 하지메

홀로라이브 EN

영미권 진출사업이다.

1기생

다른 표현은 HoloMyth

모리 칼리오페
타카나시 키아라
니노마에 이나니스
가우르 구라
왓슨 아멜리아

Project: Hope

아이리스
IryS.png

2기생

다른 표현은 HoloCouncil

츠쿠모 사나

홀로라이브 EN의 첫 졸업생이 되었다.

세레스 파우나
오로 크로니
나나시 무메이
하코스 벨즈

3기생

다른 표현은 Advent

시오리 노벨라
코세키 비쥬
네리사 레이븐크로프트
후와와 어비스가드
모코코 어비스가드

홀로라이브 ID

인도네시아 진출사업이다.

1기생

다른 표현은 AREA15

아윤다 리스
무나 호시노바
아이라니 이오피프틴

2기생

다른 표현은 HOLORO

쿠레이지 올리
아냐 멜핏사
파볼리아 레이네

3기생

다른 표현은 HOLOH3RO

베스티아 제타
카엘라 코발스키아
코보 카나에루
  1. 버츄얼 유튜버로써의 활동을 중단하는 행위. 다만 키류 코코-kson의 행보에서 알 수 있듯 현재까지 활동해 오던 버츄얼 유튜버로써의 활동을 중지하는 것일 뿐, 얼마든지 다른 모습으로 활동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2. 切り抜き, 우리에게 친숙한 표현으로는 클립(Clip) 영상이라고도 하며, 버츄얼 유튜버가 방송하던 중 재미있었던 장면들을 따로 모아둔 영상들을 의미한다.
  3. "최애"라는 뜻의 일본식 표현